1. 개요
분양권 전매 제한은 주택(주로 아파트)을 분양받은 후 일정 기간 동안 다른 사람에게 팔지 못하게 제한하는 행정 제도.
부동산 투기 억제를 위함이다. 분양권을 받은 사람이 자신이 입주하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파는 것을 말함.
1981년에 처음 도입된 제도이다.
2. 기타 사항
이런 뉴스가 있었다.
지금이 2020년 11월이니까 이미 시행되고 사실상 분양권 자체를 거래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왜냐면 실제로 준공되고 등기를 쳐야 거래를 할 수 있다는 것은 분양권 거래가 아니니까.
www.taxtimes.co.kr/news/article.html?no=244640
8월부터 수도권‧지방광역시 분양권 전매 제한 '6개월→소유권 이전등기시까지'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성장관리권역과 지방광역시의 도시지역 민간택지에서 건설‧공급되는 주택에 대한 전매제한 기간이 현재 6개월에서 소유권 이전 등기 시까지로 강화된다. 국토부는 전
www.taxtimes.co.kr
인용 블로그
m.blog.naver.com/woori_octo/222029336791
분양권 전매 제한! 이제 아파트 사고팔 수 없는 걸까?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큰 이슈는 ‘분양권 전매 제한’입니다. 이 제도는 이전에도 있었던 것이지만 ...
blog.naver.com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 환매조건부 주택과 토지임대부 주택 (0) | 2020.12.13 |
---|---|
[지식] 입주권과 분양권의 차이 (0) | 2020.12.10 |
[자료조사] 수원 매탄동 (0) | 2020.11.15 |
[임장] 천안 아파트 임장 (0) | 2020.08.18 |